뇌졸중 발생 위험을 높이는 만성 뇌혈류 순환장애 진단용 참조표준도판 환자의 뇌MRI에서 관찰되는 뇌허혈 백질변성이 우리나라 뇌졸중 환자 기준 100명 중 몇 등에 해당하는지 판정 가능
대뇌 백질변성 (Cerebral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참조표준 도판은 5,035명의 초발성 뇌경색 환자의 FLAIR MRI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조: Ryu~Kim. Stroke 2014;45:3567-3575
환자의 연령대에 해당하는 참조표준 영상을 선택합니다.
환자의 FLAIR MRI에서 관찰되는 대뇌 백질변성(뇌허혈 손상)과 유사한 크기를 찾습니다.
해당 영상이 뇌졸중 환자 기준 몇 퍼센타일에 해당하는지 확인합니다.
대뇌 백질변성 (Cerebral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참조표준 도판 본 참조표준도판은 처음 생긴 뇌 경색환자(총 5,035명)의 뇌 MR영상(Fluid Attenuation Inversion Recovery image; FLAIR MRI)을 이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Ryu~Kim. Stroke 2014;45:3567-3575 (Grading and interpretation of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using statistical maps). 각 연령대에 해당하는 참조표준 영상 (좌측)에서 아래 그림처럼 진료 받는 환자의 FLAIR MRI에서 관찰되는 대뇌 백질변성(뇌허혈 손상)과 비슷한 크기를 찾아 뇌졸중 환자 기준 몇 퍼센타일(100명중 몇 등)에 해당하는지 확인함.
비고: 본 참조표준 도판은 진료 및 환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조용이며, 담당 의사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한국인 뇌 MR 영상 데이터센터는 국내 최대 규모의 뇌 MRI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학습 데이터 건수
환자 데이터
참여 병원
증상 발생 24시간 이내에 확산강조영상을 촬영한 환자를 대상으로 상기 표준판을 활용하여 뇌경색병변의 부피를 ml로 환산하여 측정가능한 뇌경색 부피 참조표준
비고: 본 참조표준 도판은 진료 및 환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조용이며, 담당 의사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한국인 뇌 MR 영상 데이터센터는 다양한 기관과 협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