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MRI의 이해와 정량분석
매트랩을 이용한 참조표준/뇌지도 제작
센터에서 드디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책을 출간 하였습니다.
개인구매는 범문에듀케이션이나 기타 책 판매 사이트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정가 : 49,000원
닫기
2017/01/05 update!
한국인 뇌허혈 뇌지도 (뇌졸중 발생 위험을 높이는 만성 뇌혈류 순환장애 진단용 참조표준도판):
환자의 뇌MRI에서 관찰되는 뇌허혈 백질변성이 우리나라 뇌졸중 환자 기준 100명 중 몇 등에 해당하는지 판정 가능
대뇌 백질변성 (Cerebral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참조표준 도판
연령대 선택 연령대를 선택하시면 아래 이미지가 변경됩니다. |
본 참조표준도판은 처음 생긴 뇌 경색환자(총 5,035명)의 뇌 MR영상(Fluid Attenuation Inversion Recovery image; FLAIR MRI)을 이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Ryu~Kim. Stroke 2014;45:3567-3575 (Grading and interpretation of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using statistical maps). 사용법: 각 연령대에 해당하는 참조표준 영상 (좌측)에서 아래 그림처럼 진료 받는 환자의 FLAIR MRI에서 관찰되는 대뇌 백질변성(뇌허혈 손상)과 비슷한 크기를 '창 하단 끌기'를 통해 찾아 뇌졸중 환자 기준 몇 퍼센타일(100명중 몇 등)에 해당하는지 확인함. ![]() 비고: 본 참조표준 도판은 진료 및 환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조용이며, 담당 의사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
||
---|---|---|---|
난형중심(Centrum Semiovale Level) | 대뇌부챗살(Corona Radiata Level) | 선조-내포 부위(Striatocapsular Level) | |
![]() 50등/100명 |
![]() 50등/100명 |
![]() 50등/100명 |
|
![]()
뇌경색 부피 참조표준(N=1031)![]() 증상 발생 24시간 이내에 확산강조영상을 촬영한 환자를 대상으로 상기 표준판을 활용하여 뇌경색병변의 부피를 ml로 환산하여 측정가능한 뇌경색 부피 참조표준
CHA2DS2-VASc Score for Atrial Fibrillation Stroke RiskCalculates stroke risk for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possibly better than the CHADS2 score. 테스트 바로가기 |